SMALL
TCP/UDP를 공부하다보면 비연결과 연결이라는 용어를 많이 접한다.
해당 개념을 알고 넘어가고자 한다.
비연결 서비스[connectionless service]
패킷은 연결 설정이나 연결 해체의 필요 없이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보내진다.
연결 지향 서비스[connection-oriented service]
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먼저 연결이 설정이된 후 데이터가 전송된다.
이제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.
비연결 서비스를 두 지역에 다리를 설치하지 않고 그냥 던지는 식으로 데이터를 전송
하는 개념이다.
연결 서비스는 두 지역에 다리를 설치해 놓고 데이터를 주고 받는 개념이다.
* 비연결 프로토콜은 데이터 그램 사이에 관계가 전혀 없는 독립된 데이터 그램이다.
-->A[4]라는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
A[1], A[2], A[3],A[4]와 같이 그냥 별개로 독립된 의미라는 것이다. 도착한 순서대로
연결 지향 프로토콜은 데이터 그램 사이에 관계가 존재 하는 비독립적 데이터 그램
이다.
--> A[4]라는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. 이 데이터들은 순서가 중요하다.
그래서 A[1] A[2] A[3] A[4]와 같이 순서에 의미가 있는것이다.
LIST
'학부_대학원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NS[Domain Name System] (0) | 2016.08.02 |
---|---|
네트워크 [신뢰성 대 비신뢰성] (0) | 2016.08.02 |
LAN의 매체 접근 제어[MAC]방식 (0) | 2016.07.31 |
침압차단시스템[Firewall] (0) | 2016.07.28 |
Tcp 흐름제어 (0) | 2016.07.27 |